본문 바로가기

오버워치 리그 별별 스탯

2022년 포스트시즌 탱커편

주의 - 포스트시즌 공식 데이터는 데이터 자체 오류로 일부 데이터가 공란입니다.

따라서 이하 자료들은 정확한 값이 아니며 근사치로 간주합니다.

 

2022년 마지막을 장식한 포스트시즌에서는 키리코 출시로 인해 키리코 메타가 찾아왔습니다.

기본 조합인 윈스턴-소전-리퍼-루시우-키리코 로 거의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습니다.

 

탱커편에서는 따라서 윈스턴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예외 사항

라인하르트 - 쟁탈 맵 - 썸원, 호크, 라이너, 하디

디바 & 자리야 - 키리코 등장 이전 플레이 온 (Play-On) - 다수 플레이어

오리사 - 쟁탈 맵 & 왕의 길 - 썸원, 호크, 단테

둠피스트 - 대부분 추가시간 비비기로 사용 - 다수 플레이어

시그마 - 쓰레기촌 & 서킷로얄 - 썸원, 스머프, 콜루지, 스페이스, 베르나르

로드호그 - 66국도 & 부산 & 쓰레기촌 - 다수 플레이어 (깜짝픽)

레킹볼 - 오아시스 - 핫바 (8초 사용)

 

 

1. 윈스턴 일반 지표

(주의: 윈스턴이 무조건 딜량이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대신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1분류 - 썸원, 피어리스, 라이너, 하디, 단테 - 케어 받은 만큼 딜량을 창출하였습니다.

다른 선수들은 원래 윈스턴을 잘하는 선수임에 비해 단테 선수는 윈스턴 경력을 생각한다면 미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심지어 게임 중간중간에는 오리사와 로드호그로 경기 보는 맛을 보여준 이제는 대탱커 단테입니다.

 

2분류 - 호크 - 받은 케어에 비해 딜량을 창출하지 못하였습니다.

반대로 섭탱 전문인 호크는 메인탱 메타가 오자 고생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왕의길에서 윈스턴으로 안 풀리자 오리사를 선회하고 조합 차이가 더 벌어져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것을 볼때는 참으로 본인이 얼마나 답답할까 싶었습니다. 다행히도 2023 애틀란타는 동학 선수를 선발해서 메인탱 메타를 대비하였습니다.

 

3분류 - 스머프 - 받은 케어 이상으로 딜량을 창출하였습니다.

서울은 빠르게 토너먼트 4강에 진출하며 많은 기대감을 얻었습니다만 우승팀과 준우승팀, 댈러스 쇼크를 연속으로 만나며 탈락하게 됩니다. 플레이오프 기준으로는 스머프가 모든 탱커 중 가장 낮은 케어를 받았음에도 딜량 2등을 기록한 것이 대단한 것 같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팀합이 더욱 잘 맞았다면 그 이상으로 충분히 갈 수 있었던 서울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4분류 - 쇼크의 탱커들 - 슈퍼가 있었다면!

쇼크는 2022시즌 가장 큰 문제가 슈퍼의 은퇴였습니다. 슈퍼같은 탑급 인재를 놓쳤다는 것도 있습니다만 슈퍼 자체가 영웅폭이 아주 넓었기 때문인데요. 급하게 콜루지 선수를 데려옵니다만 섭탱 전문이었기에 메인탱을 해야할 때 쇼크가 조금은 고생을 했습니다 (다행히도 워낙 프로퍼와 뒷라인이 강했기에). 결국 추가로 메인탱 마이키 선수를 영입합니다. 하지만 마이키 또한 레킹볼로만 컨텐에서 유명한 선수였고 실제로도 리그에서 윈스턴보다는 레킹볼을 잘 다루었습니다.

아쉽게도 2022년의 마지막 메타가 윈스턴을 선택하였기에 쇼크는 피어리스를 상대로 앞라인은 지고 가는 싸움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풀세트를 갔다는 것이 그만큼 프로퍼, 스트라이커, 바이올렛이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필자는 결승전에서 댈러스를 응원했습니다)

그만큼 쇼크도 장점인 프로퍼 선수를 밀어주기 위해 상대적으로 윈스턴보다는 프로퍼 선수에게 케어를 집중합니다.

 

 

2. 원시의 분노 처치

2022 플레이오프의 주인공은 아니지만 국쉐 선수는 가장 큰 수혜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안 그래도 2019년 전성기를 찍고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는 모습이었고 2022년 정규시즌은 베르나르 선수가 1선발 탱커로기용이 많이 되었는데요.

본인의 주담당인 윈스턴 메타가 오자 지금까지 힘을 숨기고 있었는지 다시 전성기 국쉐를 보는 듯 했습니다. 국쉐는 서양 팬덤이 큰 선수이기에 국쉐의 원시의 용검 (Primal Blad)을 다시 볼 수 있어서 감격이다 라는 서양 팬들의 반응이 많았네요.

플레이오프에서 윈스턴 플레이 시간이 가장 길면서도 실제로 '원시의 용검'급으로 많은 킬캐치를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올해 탱커 부문 Role Star를 도둑맞았다고 보는 성공적인 데뷔시즌을 치룬 썸원 또한 미친듯한 윈스턴 폼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윈스턴의 정석이면서 그랜드파이널 MVP를 수상한 피어리스를 본다면 사실 이 수치는 중요하지 않아보이기도 합니다. 이번 메타에서 사실 윈스턴 유저가 가장 바쁘게 해야했던게 상대 소전 견제가 아닐까 하는데요. 피어리스 선수는 미친듯이 소전 견제에 충실하지 않았나 싶네요.

 

 

3. 원시의 분노 딜량

원시의 분노 딜량은 스머프, 페이트, 피어리스, 썸원이 상위권에 있습니다.

전통적인 윈스턴 장인들이 역시나 잘하는 모습입니다.

2020년부터 윈스턴 자료를 추적하고 있는데 스머프, 피어리스는 정상에서 내려올 생각을 안 하네요...

'오버워치 리그 별별 스탯'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리그 루시우 스탯  (1) 2023.02.27
2022리그 브리기테 스탯  (5) 2022.12.08
2022리그 자리야 스탯  (0) 2022.12.08
2022리그 윈스턴 스탯  (0) 2022.12.08
2022리그 정커퀸 스탯  (2)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