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딜량
공격적인 아나의 대표주자 슈가 역시 압도적인 딜량을 자랑했습니다.
지원가는 단지 딜량이 높다고 좋은건 아니니까 더 깊게 파고들지는 않습니다.
2. 수면총
높은 수면총 실력을 보여준 선수는 서마제드, 핀, 슈 입니다.
신기하게도 딜량 지표에서 Top3를 차지한 선수와도 같습니다.
단순히 우연인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3. 줌 & 노줌 활용도
아나의 샷 방식, 즉 줌 or 노줌은 사람마다 꽤 갈리는 영역입니다.
그러면 프로들은 정형화된 스타일을 갖고 있을까요?
그래프를 보면 드러나지만 우리네 일반인 마냥 프로들의 줌, 노줌 역시 스타일이 갈립니다.
일반적으로 프로들은 10분당 160~180번 정도 샷을 적중시키고 있습니다.
양극단을 보자면 파웨이 선수는 90:90 정도, 아이러니 선수는 60:120 정도로 샷을 분배했습니다.
결론은 "샷 분배에 있어서 정석은 없다" 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힐/딜 분배
아까는 딜량만 보았고, 이번엔 힐량을 그래프에 같이 추가했습니다.
수비적인 운영은 역시 댈러스의 필더 선수가 압도적으로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댈러스는 작년부터 필더 선수에게 힐을 몰아주며 빠르게 나노, 융화, 여우길 등을 돌리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필더 선수의 피지컬이 받쳐주기에 가능했던 전략이라 생각하는데요.
댈러스의 작년 최종 순위 3위, 올해 최종 우승을 고려한다면 성공적인 전략이지 않을까 합니다.
5. 수류탄 활용도
아나의 수류탄 또한 상당히 활용도가 높은만큼 복잡한 지표입니다.
핀, 슈 선수 등은 거의 힐밴 용도로 수류탄을 사용하는 공격적인 운용을 보여주었습니다.
글래디, 쇼크 등은 힐밴 포커싱으로 이득을 많이 본 팀이였습니다.
반대로 파웨이 선수는 힐 증폭을 위주로 수류탄을 사용하는 수비적인 운용이네요.
광저우에서는 파웨이가 하루종일 물리면서 수류탄과 수면총으로 생존하는 장면을 많이 보여주었죠.
우측 상단을 이제 보겠습니다. 서마제드와 칸 선수가 있는데요. 이 선수들은 힐밴과 힐 증폭을 동시에 많이 해냈습니다.
뒤에서 또 다룰 이야기겠지만 이는 두 선수의 포지션과 맞물린 결과로 보입니다.
서마제드와 칸 선수는 유독 공격적인 포지션을 넘어서서 거의 1선에서 플레이를 한 선수입니다.
아마 팀적으로 약속된 플레이라 생각은 됩니다만
그렇기 때문에 팀과 함께 아나가 상대 진영에 뛰어들며 근거리 수류탄을 까며
같이 뛴 팀원들에게 힐을 주고 상대에게 힐밴을 넣는 소위 자폭(?) 작전을 많이 한 결과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운영은 뒤가 없다고 생각을 해서 좋아하는 전략은 아닙니다)
6. 아나의 포지션 고찰
위 5번 항목에서 이어지는 서술입니다.
서마제드와 칸 선수는 아나를 플레이하며 그래프에서 보이는 것처럼 정말 많이 죽었습니다.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1선에 아나 던지기는" 팀적인 전략일 것이기에 이 두 선수의 실력 문제는 절대 아닐겁니다.
대신 그래프의 형태가 의미를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프 형태가 거의 y = x 처럼 정비례 관계인데요.
많이 죽는 힐러가 역설적으로 케어는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포지션이 적절하다면 케어를 적게 받아도 많이 안 죽습니다.
이 그래프를 보고 좋지 않은 포지션을 잡고 있는 지원가 유저들이
(힐돕힐 등의) 케어가 없다고 불평불만하는 것이 적어지면 좋겠습니다.
위험한 포지션을 잡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만
그만큼 공격적인 변수를 내야하고 본인이 생존할 생각은 저버리는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오버워치 리그 별별 스탯'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리그 바티스트 스탯 (0) | 2022.11.30 |
---|---|
2022리그 젠야타 스탯 (0) | 2022.11.30 |
2022리그 트레이서 스탯 (0) | 2022.11.23 |
2022리그 소전 스탯 (2) | 2022.11.18 |
2021 리그 [오브젝트 파괴] 부문 (0) | 2022.02.18 |